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2월 자동차 등록대수가 누적 2,491만 대를 기록해, 2020년말(2,436만 대) 대비 2.2%(+55만 대) 증가했다고 밝혔다. 인구 2.07명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한 셈이다.
* 자동차등록대수: 2016년 2,180만 대 / 2017년 2,320만 대 / 2020년 2,436만 대 / 2021년 2,491만 대
* 자동차 1대당 인구수: 미국 1.1명, 일본 1.6명, 독일 1.6명, 스웨덴 1.8, 중국 5.1명
원산지별로 국산차의 누적점유율은 88.2%(2,196만 대), 수입차는 11.8%(295만 대)로 집계 되었다.
*수입차 점유율 : 2017년 8.4% → 2019년 10.2% → 2021년 11.8%
사용 연료별로는 친환경차(전기·수소·하이브리드차)가 전년대비 41.3% (+33만9,000대) 올라 누적등록 116만 대를 기록했다.
특히 수소전기차는 2020년보다 77.9%(+8,498대) 증가해 누적 등록 총 19,404대를 기록했다. 하이브리드는 전년대비 34.7%(+23만4,000대) 올라 누적 등록 총 90만8,000대를 기록했다.
휘발유차는 전년대비 3.1%(+34만9,000대) 증가하였으며, 경유차는 증가를 멈추고 2021년에 처음으로 1.2%(12만 대) 감소를 나타냈다.
*경유차 누적등록 : 2018년 993만 대, 2019년 996만 대, 2020년 999만 대, 2021년 987만 대
지난해 자동차 신규등록 대수는 반도체 수급부족에 따른 생산차질로 174만3,000대를 기록했다. 2020년보다 9.0% 내려갔다.
지역별로는 광주(-14.6%), 대전(-13.5%), 울산(-13.4%), 서울(-13.0%) 순으로 신규등록의 감소폭이 컸다.
전년대비 국산차 신규등록은 11.1% 감소한 142만9,000대이나, 수입차 신규등록은 1.9% 증가한 31만4,000대로 수입차 신규 등록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.
대세는 친환경차였다. 지난해 말 전기차는 전년대비 71.5%(+96,481대) 올라 누적 등록대수 총 23만1,443대를 기록했다. 또한, 지난해 전기차 신규 등록대수는 10만 대로, 우리나라는 미국과 중국, 독일, 프링스, 영국에 이어 전기차 10만 대 이상 신규 등록된 국가로 이름을 올렸다.
* 연도별 전기차 신규등록: 2018년 3만1,000대, 2019년 3만5,000대, 2020년 4만7,000대, 2021년 10만 대
지역별로는 경기·서울·제주도에 전기차(93,342대)가 등록 대수가 높았다(40.3%). 특히 2020년 대비 전기차 보조금과 배정대수가 많은 인천이 가장 높은 139% 증가했고, 부산이 131%, 전북이 122% 순으로 올랐다.
특히 전기 화물차 등록대수도 눈에 띈다. 구매보조금과 한시적인 영업용번호판 발급총량 예외 정책* 등에 따라 2019년말 11,000대에서 2021년말 43,000대로 대폭 증가했다.
*1.5톤 미만 전기트럭에 영업용 번호판 발급을 ‘22.4.13.까지 총량예외(화물자동차운수사업법)
제작사별로는 현대자동차(44%), 기아(23.7%), 테슬라(14.2%) 순으로 누적등록 점유율을 보였다. 이 가운데 테슬라의 점유율은 2018년 1.6%에 불과했지만 2020년 11%를 넘기더니 지난해 14.2%까지 치솟았다.
2021년말 기준 누적등록 상위 전기차 모델을 살펴보면, 코나 일렉트릭(32,789대, 14.2%), 포터Ⅱ(24,599대, 10.6%), 아이오닉5(22,583대, 9.8%), 테슬라 모델3 (21,456대, 9.3%), 니로EV(19,356대, 8.4%) 순이다.
글 로드테스트 편집부
사진 각 제조사
깊이 있는 자동차 뉴스, 로드테스트